안녕하세요 워런해핏입니다. 이제 곧 연말정산 기간이네요. 제 2의 월급이 될 수도 있고, 돈을 토해낼 수도 있죠. 세제혜택을 위해서 여러 가지를 찾아보고 계실 건데요. 오늘은 무려 15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연말정산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바로 연금저축, 퇴직연금입니다.
<목차>
1. 연금저축 / 개인형퇴직연금이란?
1) 연금저축
2) IRP(개인형퇴직연금)
2. 투자하기 전 모르면 손해보는 정보
1) 해지할 수 있을까?
2) 수령 조건
3. 투자 방법. 추천하는 증권사는?
1. 연금저축 / 개인형퇴직연금(IRP)
정부는 연금저축과 IRP에 세액 공제를 해줍니다. 무려 넣은 돈의 16.5% 또는 13.2%를 공제해줍니다. 공제율의 차이는 소득에서 나옵니다. 총급여가 5500만원(종합소득 4500만원) 이하일 때는 16.5%, 초과면 13.2%를 공제받습니다. 인정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900만원입니다. 이것을 꽉 채워넣는다면 각 148만원, 118만원을 연말정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.
연금저축은 31일, IRP는 29일까지 납입했을 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
1) 연금저축
누구나 가입 가능. 주식 등의 위험 자산에 100%까지도 투자 가능. 하지만 펀드, 보험 등에만 투자 가능. 600만원 한도로 혜택.
2)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소득이 있는 취업자, 자영업자, 연금수령자들만 가입 가능. 주식 등 위험 자산에 70%까지만 투자 가능. 하지만 투자 가능한 자산이 많음 (ETF, 리츠 등 부동산투자회사). 900만원까지 풀로 넣을 수 있음.
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연금저축 | 개인형퇴직연금 (IRP) | |
가입 조건 | 누구나 가입 가능 | 소득이 있어야 가능 (직장인, 자영업자, 연금수령자 등) |
투자 대상 | 위험자산에 100% 다 투자 가능 But 펀드나 보험 등에만 투자 가능 |
위험자산에 70% 투자 가능 But 투자 가능한 자산이 다양함 (지수 펀드인 ETF, 리츠 등) |
세제 혜택 조건 | 600만원 한도 최대로 받으려면 IRP에 300만원 넣기 |
IRP에만 900만원 전액 넣어도 세제혜택 받을 수 있음! |
공통적인 세제 혜택 | 소득에 따라서 납입금액의 15.2%나 13.2% 세제혜택 가능 |
2. 투자하기 전 모르면 손해보는 점
1) 해지할 수 있을까?
이렇게 엄청난 세제혜택이 있는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상품.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요. 바로 돈이 묶인다는 겁니다.
연금 상품은 노후에, 일하기 힘들 때를 대비하는 게 목적입니다. 연금 상품은 납입한 돈을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받는 것입니다. 그 전에 빼 쓸 일이 있다면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. 그동안 받았던 세금 혜택을 다 뱉어내야 하거든요. 만약에 은퇴시기가 가까워졌다면 납입액을 늘리면 됩니다. (단, 총급여액 1.2억, 종합소득세 1억 넘으면 세금혜택은 X)
IRP는 55세까지는 넣은 돈을 인출할 수가 없어요. 무주택자일 경우는 주택 구입. 또는 요양 및 파산 선고 등 몇 가지 사유에 해당할 때만 중도에 돈을 뺄 수가 있습니다. 돈을 빼려면 계좌 자체를 해지해야 합니다. 이렇게 중도 해지 시 세금과 수익에 대해서 16.5%가 부과됩니다.
연금 저축은 중도 인출을 할 수 있지만 해지할 경우에는 16.5% 기타소득세를 내야 합니다.
연금저축 | IRP | |
돈 인출? | 중도 인출 가능 But 인출 금액에 16.5% 내야 함. |
55세까지 인출 어려움. 중대한 이유가 있을 때만 해지 가능(무주택자의 주택 구입, 파산 등) |
세액 공제로 13.2% 받은 사람은 16.5%를 토해내야 하니 더 손해 16.5% 세액 공제 받았어도 그만큼을 다시 돌려내야 함. |
2) 개인 연금저축 수령 조건
- 55세 이상이어야 해요. -가입한지 5년 이상이 지나야 해요. - 일정 비율로 나눠 받아야 해요. |
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인출금액과 이익의 16.5% 세금입니다.
3. 투자 방법. 추천 증권사?
퇴직연금 수수료율을 보시고 들어가셔도 됩니다. 수수료 뿐만 아니라 시장점유율 등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 점유율 1위(약 33%)를 차지하고 있는 증권사는 ~입니다. 취급하는 펀드의 수도 많습니다. 연금저축 계좌에 ETF도 담을 수 있습니다.
한국투자증권, 하나증권, 하이투자증권, KB증권, 신한투자증권, 현대차증권, 유안타증권, NH투자증권, 삼성증권, 미래에셋증권, 신영증권, 대신증권 등의 증권사에서 취급합니다. 수수료도 비슷한 편이니 자신이 편한 증권사로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오늘은 연말정산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시면 연말정산 혜택은 물론 노후를 탄탄히 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일정 금액을 떼 놓고, 절대 빼지 않는 돈으로 생각하고 소비하시면 현재의 행복은 물론, 빛나는 미래까지 기대할 수 있으니깐요. 어서 가입하셔서 혜택 보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 워런해핏이었습니다.
'돈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 ETF 뭐길래? 첫날 거래액만 6조? 이틀 째 급락? 기사 두 개 이어보기. (0) | 2024.01.14 |
---|---|
마이너스통장 이자계산 한도대출 이거 모르면 이자 더 내요! (0) | 2024.01.03 |
안정적인 배당주 투자. 배당락이란? 국내 해외 배당주 추천까지! (0) | 2023.12.25 |
미국국채 채권이 뭘까? 어떻게 투자해야하는지? ETF 종류까지! (0) | 2023.12.11 |
마이너스 통장 이자계산 알아야할 점 조심해야 할 점 꿀팁까지! (1) | 2023.09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