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민연금대출 받는 방법 5가지 비교 총정리!
급여나 수익이 예상보다 적게 들어오거나, 갑작스러운 지출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게 대출이겠죠. 은퇴하면 고정 소득이 줄어들고, 의료비 등의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는 신용점수가 낮으면 금리를 높게 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.
오늘은 혹시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을 때 대출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집을 담보로 주택담보대출 등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요. 근로하면서 납입었던 국민연금으로도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것 아셨나요?
1. 실버론
국민연금대출은 수급액(받는 금액)에 따라서 대출 가능한 금액이 결정됩니다. 60세 이상의 수급자들이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, 최대 1000만원까지 대출할 수 있습니다. 그것도 저렴하게 받을 수 있지요.
대출 대상 : 국민연금을 받는 만 60세 이상의 수급자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국내에 거주하는, 정상적으로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.
대출 한도 : 조건만 충족된다면 최대 10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 한도에는 두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. 연간수령액의 2배와 필요한 금액만.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.
예를 들어 월에 30만원을 받는 경우, 1년에 30x12 = 360만원을 받을 수 있죠? 최대 720만원까지 대출 가능한 겁니다. 그리고 딱 필요한 금액까지만 대출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 의료비 500만원이 청구되었을 때 500만원까지만 가능한 것이죠.
대출금리 : 연 1%~3%대로 매우 낮은 편입니다.
상환 방법 : 원금균등분할방식입니다. (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나갑니다.)
상환 기간 : 최대 5년입니다. 1년 또는 2년은 이자만 갚고 그 후부터 상환을 시작합니다. 최장 7년까지 가능하겠네요.
구분 | 내용 |
대상 | 국민연급수급자 |
한도 | 최대 1000만원 |
금리 | 연 1%~3%대 |
기간 | 최장 7년 |
2. 사잇돌대출
서울보증보험에서 제공하는 정책서민금융상품입니다.
대출 대상 :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만 60세 이상 수급자 중 연금 소득이 1000만원 이상인 분만 가능합니다.
대출 한도 : 최대 20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.
대출 금리 : 금리는 최고 연 15% 이내이네요.
상환 방법 : 원금과 이자까지 함께 상환해야합니다.
구분 | 내용 |
대상 | 국민연금수급자 |
한도 | 최대 2000만원 |
금리 | 최고 연 15% 이내 |
기간 | 최장 5년 |
여기까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이제부터 상위 3개 은행 상품을 비교해드리겠습니다.
3. 국민은행
대출 대상 : 국민은행 계좌로 국민연금을 1회 이상 수령했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대출 한도 : 최대 한도는 1억원입니다.
대출 금리 : 최저 3.7%에서 6.5%까지 설정됩니다.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.
구분 | 내용 |
대상 | 국민연금수급자 |
한도 | 최대 1억원 |
금리 | 연 3.7~6.5% |
기간 | 최장 10년 |
4. 농협
대출 대상 : 최근 3개월 이상 연속으로 농협계좌로 국민연금을 수령한, 연금 연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사람
대출 한도 : 최대 3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.
대출 금리 : 고객 별로 다르기 때문에 지점에서 직접 확인해보셔야 합니다.
구분 | 내용 |
대상 | 국민연금수급자 |
한도 | 최대 3000만원 |
금리 | 고객별 차등 적용 |
기간 | 최장 5년 |
5. 하나은행
대출 대상 : 하나은행으로 국민연금을 수령하거나 이체를 약속한 고객
대출 시기 : 국민연금 시작부터 10년이 되지 않았을 때 신청 가능
대출 기간 : 최대 5년까지입니다.
구분 | 내용 |
대상 | 국민연금수급자 |
한도 | 최대 2000만원 |
금리 | 고객별 차등 적용 |
기간 | 최장 5년 |
상환방법 : 원금균등, 원리금균등, 통장대출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.
상환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제가 쓴 이 글을 확인해주세요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지대장 임야대장 /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무료열람 방법 (0) | 2023.11.02 |
---|---|
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예상수령액 조회까지 해보다. (0) | 2023.11.01 |
전세금 보호 청년 전세보증반환 보증료 환급사업 (0) | 2023.10.29 |
대학생 전세자금대출 : 5가지 대출 한방에 비교! 안보면 손해! (0) | 2023.10.28 |
서울시 청년 전세자금대출 이자 지원 모르면 진짜 손해! (1) | 2023.10.27 |